한국 드라마


응답하라 1988

드라마
답변서 1988, 2015

프로그램 채널: tvN
방송기간 : 2015.11.06. ~ 2016년 1월 16일. / 20화
연출 신원호
출연 : 성동일, 이일화, 라미란, 김성균, 최무성, 김선영, 유재명, 류혜영, 이혜리, 고경- 표, 류준열, 박보검, 안재홍, 이동휘, 최성원


신원호 PD의 ‘응답하라 시리즈’ 3탄이다.
1988년 서울 도봉구 쌍문동 금은방 봉황당 일대 골목에서 다섯 가족의 애틋한 가족 이야기처럼 같은 골목에서 자란 소꿉친구 다섯 명의 사랑과 우정 이야기다.
전작 응답하라 1997, 1994가 주인공들의 러브스토리와 여주인공의 남편 찾기에 집중했다면, 응답하라 1988은 전작의 남편 찾기를 이어가며 가족 이야기의 무게를 더하고 조연들의 비중이 높아졌다.
그리고 더 집중했다.
. 특히 응답하라 1988은 리메이크 OST가 많은데, 이적이 리메이크한 ‘걱정마 그대여’와 노을의 ‘투게더’는 듣기만 해도 눈물이 나고 위로가 되는, 쌍문의 이야기와 잘 어울린다.
-동


가장 기뻤던 때는 언제였나요?

386세대도 88만원세대도 아니고
그래도 기성세대라고 불리기 싫은 여성이 있다.

1971년생, 대부분 한국에서 태어났다.
45세의 성덕선 씨.
덕선이 18살이던 1988년, 건국 이래 가장 큰 행사인 서울올림픽이 열렸다.

1989년 고등학교 졸업장을 준비하던 중 베를린 장벽이 무너졌습니다.

대학에 입학한 1990년 MBC 라디오에서 배철수의 음악캠프를 시작했다.

내가 살았던 시간은 누구에게나 특별해서 그 시절을 또렷이 기억한다.

아버지가 월급날에 사주시던 통닭이 든 노란 봉투.
어머니는 아버지의 밥그릇을 이불 속 깊숙이 넣어두셨다.

온 가족이 둘러앉은 “한지붕 아래 세 가족”
앞, 옆, 뒤 건물을 공유하며 살았던 길 위의 이웃들을 기억합니다.

어렴풋이 떠오르는 과거의 기억은 밤에 뒤척이게 하고 오늘을 살아가는 디딤돌이 된다.

우리가 보낸 시간에 대한 이야기
어제의 청춘들에게, 그리고 오늘의 청춘들에게 위로와 격려가 됩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을 위한 사랑 노래
계절의 봄처럼 짧았고 청춘처럼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갔던 그 시절로 여행을 떠납니다.

(출처: tvN 공식 홈페이지)


응답하라 1988은 1회당 2회 정도로 나누어져 있는데, 모든 회차가 마음에 와 닿았다.
그때는 반찬을 서로 나눠먹고, 집에 사람이 없으면 옆집이나 아래층에서 부모님을 기다렸고, 저녁도 준비해서 먹고 기다리며… 참 따뜻했어요. 주인공의 성장과 러브라인은 물론 주변 인물들의 섬세한 감정선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까지 완벽했다.
답글 시리즈인데도 확실히 복선탐색인데 복선이라고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 너무 많아서 제작진이 얼마나 빡세게 했는지 놀랐다.

혜리가 여주인공으로 캐스팅됐을 때 전작들처럼 눈에 띄는 연기력을 보여주지 못해 걱정했는데, 보고 나니 주인공 성덕선이 혜리 그 자체로 조화로운 연기를 펼쳤다.
동룡이 아버지인 쌍문고 학주 역을 연기한 배우 유재명이 즉흥 연기를 펼치는 등 응답하라(응답하라 1988) 캐스팅을 논의하는 회의 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다.
신원호 PD는 공연을 보자마자 “하자”고 했고, 유재명 배우가 아니면 상대할 수 없는 상대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완벽했다.

두 번째의 슬픔, 엄마, 아빠, 소꿉친구를 좋아하는 부모가 서로 새로워 관계를 끝내고 싶지 않아 하는 상반된 생각, 엄마는 늙었지만 보고 싶은 그리움, 아이를 불쌍히 여기는 아빠의 마음, 또래, 중년 여성, 갱년기… 온 가족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로 우리가 일상에서 느끼고 경험하는 이야기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재미와 감동, 공감을 모두 만족시키는 드라마로, 주인공의 러브라인은 물론 가족애, 우정, 이웃 간의 애틋함이 담겨있다.
마지막 엔딩 장면에서 사랑했던 쌍문동 골목을 나오자 매일매일 이야기하던 택의 텅 빈 방이 보였다.
나는 추천한다 나의 소중한 청춘을 떠올리게 하는.

“그 시절이 그리운 이유, 그 골목이 그리운 이유는 지금보다 어려보이고 싶어서가 아니다.

“내 아버지의 젊음, 내 어머니의 젊음, 내 친구들의 젊음, 내가 사랑하는 모든 것의 젊음이 거기에 있었느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