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고 있는 미 채권시장, 22020년 수익률 양극화를

올해 세계 금융시장에서 일어난 격변이 미국 채권시장에 부정적인 방향과 긍정적인 방향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표적인 ETF 기준으로 채권시장 부문별로 연초 대비 수익률(가격 상승)이 상당한 플러스부터 심각한 마이너스까지 다양한 상황이다.

최고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는 채권은 단연 장기국채다.
TLT(iShares20+Year Treasury Bond)는 연초 대비 13.3%나 올랐다(3월 17일 기준). 최근 며칠간 오르내리며 전년 동기 대비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만 2020년 현재 TLT는 미국 채권시장에서 수익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채권 가운데 연초 대비 플러스(+) 수익률을 나타내는 것은 각종 만기 국채에 한정돼 있어 한 가지 예외가 물가연동 국채로 연초 대비 손실을 기록했다.

채권시장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부문은 정크본드다.
JNK(SPDR Bloomberg Barclays High Yield Bond)는 연초 대비 13.3% 하락해 미 채권시장에서 가장 큰 손실을 기록했다.

기업이 취약해지면서 국채와 회사채로 구성된 미국 투자신용평가채권 벤치마크도 압박받고 있다.
BND(Vanguard Total Bond Market)는 연초 대비 0.8% 하락했다.

신용등급이 낮은 회사채가 고전하는 이유는 채무불이행 위험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글로벌리서치의 하이일드 전략책임자 올레그 멜렌티에프는 그동안 우려 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
채권시장에 있어서의 다양한 스프레드 척도별, 그리고 다양한 부문별로 상당한 큰폭의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라고 한다.

최근 며칠간 투자자들이 미국이 경기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면서 일반적으로 경제데이터에 기초한 채권가격 책정방식이 사실상 작동을 멈췄다.
경제보고서에는 경제활동 결과가 뒤늦게 반영되기 때문에 향후 몇 주 동안 코로나19의 영향이 업데이트되기 전까지는 현재의 수치는 사실상 가치가 없다.

미국 연방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세부적인 불확실성도 높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금리를 제로 가까이 낮추자 통화부양책을 마련하기 위해 다른 정책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재정적인 면에서는 입법이 아직 늦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원에 1조달러의 경기부양책을 요청해 놓은 상태이지만, 상원 의원들은 여전히 상세한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누구나 주목하는 중대 요인은 코로나19로 인한 미국과 다른 나라의 경기침체 가능성이다.
실제로 미국의 경제생산이 이미 국가 차원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을 가능성이 높다.

PNC 금융서비스그룹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거스 포셔는 짧다고 생각하지만 급격한 위축이 일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경기 침체 정도와 회복 시기에 대해 더 명확한 전망이 나올 때까지는 채권이 플러스 수익률을 가져다줄 유일한 자산이 될 것이다.

실제로 최근 들어 장기국채 수익률이 주식에 비해 크게 높아지면서 주식의 리스크 프리미엄이 모두 사라졌다.

토머스 밀러 인베스트먼트의 최고 투자 책임자 아비 올라 신문은 “믿기 어려운 상황이다.
어쩌면 금융 교과서를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위험이 보상받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유감스럽게도 이런 상황이 얼마나 오래 갈지, 또 투자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인 시간의 지평을 넘어 진정한 결정 요인은 경제성장의 전망, 인플레의 전망, 정책 전망이 된다.
이런 요인이 분석된다고 해서 당장 채권과 반대에 걸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자료 출처 : The Capital Spectator , ” US Bond Returns Vary Dramatically So Far In 2020 “